분자생물학
-
하....Cloning..클로닝...BIO/Experimental Techniques 2025. 2. 8. 02:16
실험하는데 있어서 원하는 gene을 과발현 시켜서 해당 상황에서의 반응을 보는 것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이때 해당 gene을 과발현 시키기 위해서는 transfection이라는 과정을 주로 사용한다(바이러스를 사용하면 transduction이라고 함). Transfection을 할 때는 liposome을 형성하여 세포에게 전달하는 방법(lipofection) 전기적 자극(electroporation)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성비가 좋은 liposome 형성 기전을 채택하는데, 이 방법들 외에도 다른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해당 liposome에는 plasmid라는 유전 물질이 들어가고 해당 plasmid에는 우리가 원하는 유전자를 넣어 준다. 이때 우리가 원하는 유전자 서열을 vector에 ..
-
Co-IPBIO/Experimental Techniques 2024. 12. 31. 02:11
Co-IP(immunoprecipitation) Co-IP의 목적Co-IP는 분자생물학적으로 단백질들 간의 상호작용을 보기 위해서 진행하는 실험 기법으로, 어떤 단백질 A가 있을 때 해당 단백질과 붙어 있는 다른 단백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즉, 단백질 A에 대해서 항체를 이용해 pulling 하게 되면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다른 단백질들이 같이 끌려나오게 된다. 이를 통해서 단백질들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binding 세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Harvest1) Westernblot 시 RIPA 및 detergent가 함유된 lysis buffer는 사용 금지(안에 들어 있는 SDS가 protein 간의 interaction을 끊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