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mental Analysis

Fluorescence Spectroscopy

khudirwoddl 2022. 8. 3. 18:19
반응형

Fluorescence Spectroscopy: 특이성은 낮지만 활용도가 높은 방법!

 

1. 원리

1)원리

①물질은 빛을 흡수하여 들뜬 상태가 된 후 과잉의 에너지를 외부로 방출→다시 바닥상태로 돌아옴!

②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에너지를 방출(relaxation; 완화)

. 주변에 열로 방출하는 방법~>대부분의 물질

. 빛 에너지로 방출하는 방법: 일부 화합물의 경우 이와 같은 발광(luminescence)현상을 나타냄

. 형광(fluorescence), 인광(phosphorescence) a및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 등으로 나눔

③양상

ㄱ.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후 방출함!

. 이때 방출된 에너지가 빛 에너지 형태로 일부 방출되는데 이러한 형광을 관측하는 것!

④ 흡수했던 에너지보다 파장이 조금 길게 나옴! 에너지 준위가 일부 낮아지고 ground state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⑤형광: 바닥상태에 있는 일중항(singlet) 전자스핀을 가지는 전자가 빛을 흡수하여 들뜨게 되면 들뜬 일중항(excited singlet) 상태의 여러 에너지 준위로 전이한 후 들뜬 상태의 최저 에너지 준위로 전이하여 약간의 에너지를 방출한 다음 다시 빛을 방출하면서 스핀 변화가 없이 바닥 일중항(ground singlet)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발광을 말함.

⑥인광(phosphorescence): 에너지 준위 차이가 별로 없는 들뜬 삼중항(triplet) 전자 스핀 상태가 있으면 계간전이(intersystem crossing)에 의하여 삼중항 전자 스핀 상태로 전이한 후에 바닥 일중항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발광함

. 이러한 인광은 생물체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음

. 일반적으로 형광은 10-4~10-8초 정도로 매우 짧은 시간에 발생하지만 인광은 10-4~102초 정도로 형광에 비해 반감기가 매우 길다!

⑦ 화학발광: 화학반응으로 생성된 들뜬 상태의 화학종이 바닥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발광이 나타나는데 이를 화학발광이라고 함

2) 활용

① 형광분석법: 여러 중요한 극미량 무기 및 유기 화학종을 정량하는데 용이하며 특히 인광이나 화학발광에 비하여 응용되는 정도가 높음

② 장단점

. 장점:

a. 흡광도법보다 상당히 넓은 농도에서 linearity를 나타냄

b. 특정 물질만 형광을 내므로 높은 선택성을 가짐!

c. 적은 양만 있어도 검출이 가능함!

. 단점

a. 감도가 매우 좋기 때문에 정량분석 시 시료 매트릭스로부터 심각한 방해를 받음

b. 정량분석 응용에서는 발광법보다 흡수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자외/가시선을 방출하는 화학종보다 흡수하는 화학종이 더 많기 때문

3) 에너지 변화

energy loss: due to molecular vibration in between the absorbance and emission processes, the fluorescence is usually lower energy(higher wave length) than the absorbance

② 전자가 excited spontaneous decay to a meta-stable state로 전이한다. 이후 빛이 방출되는데 이가 형광이 됨!

③어디까지 가서 어디까지 내려오는지가 형광 빛의 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④ 형광 스펙트럼

. 들뜸 스펙트럼(excitation) 스펙트럼: 시료로 들어가는 빛인 들뜸파장을 변화시키면서 일정 파장에서 광발광 세기를 측정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똑 같은 조건에서 얻은 UV-vis 흡수 스펙트럼과 같은 형태의 스펙트럼이 얻어짐

. 방출 스펙트럼(emission): 들뜸 파장을 고정시키고 시료에서 나오는 빛인 방출되는 빛을 파장을 변화시키면서 방출 세기를 측정한 것으로 광발광 파장이 들뜸파장보다 길고, 인광 파장이 형광 파장보다 김.

. 들뜸 스펙트럼은 UV-vis 흡광 스펙트럼과 유사하며 방출 스펙트럼은 들뜸 스펙트럼과 선대칭의 관계를 가지며 형광 방출은 흡광보다 장파장 쪽에서 나타남.

2. 형광광도계: 주로 Xe을 사용함

1) 형광광도계

① 주로 Xe-arc 램프가 사용됨.

3. 형광 양자수율과 형광세기

1) 형광 양자수율과 형광세기

① 형광 또는 인광의 양자수득률(quantum yield) 또는 양자효율(efficiency)은 발광 분자수 대 들뜬 분자수의 전체 수의 비를 나타내며 물질에 따라 고유의 값을 나타냄

. 형광 세기와 형광물질의 농도와의 관계를 Lambert-Beer의 법칙으로부터 유도 가능!

. 형광물질의 농도를 c,, 입사광의 세기 PO, 일 때 투과광의 세기는 이 둘에 비례함!

Brightness and Quantum Yield

. fluorophores:

a. 같은 빛을 받아도 fluorophore에 따라 다르다! Can be defined as the intensity ratio of emitted to absorbed light

b. 같은 물질이라 하더라도 용매에 따라서 형광이 달라질 수도 있음

. Quantum yield: 흡수한 photon과 방출한 photon의 비율! temperaturepH에 따라 달라짐!

. 만약 A0.05보다 작을 때 형광의 세기는 농도에 비례한다.

. 낮은 농도에서는 정량이 가능하다!

4. 형광의 전이형태와 분자구조

1) 전자전이

① 형광은 250nm 이하의 자외선을 흡수하였을 때 거의 발생하지 않는데 이는 에너지가 너무 커서 유발분해 또는 분해가 일어나기 때문

. 따라서 σ→ σ*전이에 의한 형광은 거의 나타나지 않음.

. 대신 에너지가 적은 π→ π* n→π* 과정에 의해 형광이 발생함

. 대부분 형광 화합물의 경우 n→π* 또는 π→ π*로의 전이로 형광이 발생되며 두 전이 중 에너지가 작은 것이 형광을 발함.

a. 가장 작은 에너지 전이가 n→π*형보다 π→π*형인 화합물에서 형광을 더 잘 발하는데 이는 양자효율이 π→π*전이가 더 크기 때문!

b. 화합물로 분자구조가 단단한 판상화합물일수록, 방향족 환의 수가 증가할수록 형광 강도가 강해짐!! Conjugation이 일어나기 좋은 환경이 되니깐!!!

2) Fluorophore

fluorophore is fluorochrome(or fluorescent chromophore) covalently bonded to a macromolecule and used to statin tissues, cells, or materials for fluorescent imaging and spectroscopymacromolecule에 공유결합으로 붙임!!!

. UV-vis를 흡수하고 vis-IR을 방출함!

. biochemistry and protein 연구에서 많이 사용됨! e.g. immunofluorescence and immunohistochemistryELISA 같은 거, GFP 등등

. indirect immunohistochemistry: 형광을 내는 물질을 바로 붙이는 것이 아니라 형광 물질을 잡을 수 있는 antibody를 먼저 뿌리고 그 다음에 그 antibody에 붙는 형광 물질을 붙임!

→형광물질들을 공유할 수 있음!!!

② 붙는 작용기

. amino group, carboxyl groups, thiol, azide에는 공유결합으로

. non-specifically(glutaraldehyde)

. non-covalently: via hydrophobicity

3) Stokes shift

① 정의: the stokes shift is the gap between the maximum of the first absorption band and the maximum of the fluorescence spectrum

. excited state에서 충돌로 인해 vibrational energy에 의한 열전환이 생긴다.

. 간단히 말하면 excitation 때의 에너지와 emission 때의 에너지 차이다. λmax와의 차이

이러한 stokes shift는 물질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4) Fluorescence Probes

ROS probes hydrocyanines을 활용

. 자체로는 형광이 없으나 ROS와 반응시 fluorescent cyanine으로 변하게 됨!

. 이렇게 반응을 하고 나면 형광을 갖게 되는 것임.

DNA나 특정 물질들에 가서 붙으면 형광을 띄게 하는 시료들이 있음!

5)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FRET)

① 방출된 빛 에너지가 다른 어떤 물질에 의해서 흡수되는 현상!

. non-radiative transfer of excited-state energy from a donor molecule to acceptor molecule

→일종의 quenching

. Donor and acceptor molecule이 가까이 있어야 함! 10nm 이내에!!!

. 이런 식으로 donor의 방출되는 형광과 acceptor의 흡수되는 영역이 겹치면 FRET이 일어나게 된다!

. 이때 보다 장파장이 방출되게 된다.

② 활용

. 분자운동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as FRET is very sensitive to the distance between donor and acceptor.

. biophysics and biochem.에서 protein-protein interactions, protein-DNA interactions and protein conformational changes를 보는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 이러한 분야들에서 3차원 영상을 만드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 biological use: cyan fluorescent

protein(CFP)-yellow fluorescent protein(YFP) pair

a. CFP emission YFPabsorption과 겹친다!

transfer가 일어나게 됨!

b. actin의 연결 여부를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가까워지니깐!! Transfer가 일어나기 좋은 조건이 된다.

c. FRET between two protein interacting protein, labelled with fluorescein and tetramethylrhodamine.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단백질이 있을 때 이 둘이 가까워졌는지 확인하는 용으로 사용 가능!

5. 형광에 영향을 주는 인자

1) 소광(Quenching): 형광 분석 시 형광의 세기가 줄어드는 현상

① 소광의 원인

. 온도&용매

a. 형광의 양자 효율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 이는 분자간의 충돌 횟수 증가에 의해 빛의 발생이 없는 형태의 전자전이 즉 외부 전환의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

b. 용매의 점도가 감소함에 따라 용매 분자간의 충돌 횟수가 증가하여 외부 전환 가능성 증가로 온도와 마찬가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c. 용매의 극성에 따라서도극성이 높을수록 긴 파장, 극성이 낮을수록 짧은 파장!

*온도가 낮아지면 충돌도 적게! →극성이 낮아지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줌! 이는 solvent motion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 pH

a. 산성 또는 염기성 고리치환체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의 형광은 보통 pH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형광 파장과 세기는 이온화된 형태와 이온화 되지 않은 형태에 따라 다름

∴ 형광법으로 분석하려고 할 때 pH를 매우 정확하게 조절해야 함.

. 농도 영향

a. 시료 용액의 농도가 너무 높을 경우로 이를 농도 소광이라고 함.

b. 자가소광(self-quenching): 들뜬 상태의 분자들 간의 충돌에 의한 것으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함→ 이는 충돌할 기회가 더 많아지기 때문

c. 자기흡수(self-absorption): 흡수봉우리와 형광방출파장이 겹칠 때 다른 형광 분자에 의해 다시 흡수되면서 나타남

. 용존산소의 영향

. 상자성 이온의 영향: 상자성(paramagnetism)이온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계간전이가 증가하여 삼중항 전자스핀 상태로의 변화되는 현상

. 그외

a. 녹인 물질에 따라 방출하는 파장이 달라짐→solvent contains heavy atoms will decrease fluorescence but increase phosphorescence

② 소광으로 인해 나타나는 양상

. quenching: 원래 기존의 형광보다 intensity가 낮아지는 모든 현상

. 종류: excited state reactions, energy transfer, complex formation, and collisional quenching

heavily dependent on pressure and temperature

. quenching에 영향을 주는 화학종들: oxygen iodide ion 그리고 acrylamide 등이 있음

→chloride ion은 quinine의 fluorescence를 quenching하는 화학종으로 잘 알려짐. →푸른 빛을 띔

2) Effect of Concentration on Fluorescence

① 낮은 농도에서는 양자수율이 높아서 self-quenching이나 self-absorption이 없음. 따라서 linearity가 好

② 고농도에서는 양자수율이 낮아서 self-quenching이나 self-absorption이 일어남. 따라서 고농도에서는 linearity가 보이지 않음.

Self absorption: 방출한 빛을 흡수함

3) pH Effects

pH에 따라서 AU가 달라진다!

fluorescence is pH-dependent for compounds with acidic/basic substituents

pH가 높아짐에 따라 흡광도가 서서히 낮아짐

4) Effect of Dissolved O2

increase[O2] fluorescence 감소=용존산소량이 증가하면 형광이 감소한다!

. oxidized fluorescing species

. paramagnetic property increase intersystem crossing(spin flipping)

6. Applications: 세포생물학, 생화학 등등에서 주로 많이 사용함.

1) Determination of nitrogen monoxide

NO는 체내에서 혈압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NO의 양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형광물질을 사용한다.

DAF-FMNO와 붙었을 때 형광을 내는 형태로 변한다! ring을 형성하기에!

*이러한 형태로 여러 바이오센서로 활용한다.

2) Biological systems

light emission을 활용한다! 특히 luminescence light emission as a result of a chemical reaction without the production of heat or any thermal changes

luminescence의 종류

. bioluminescence: light emitted from a biological source

. chemiluminescence: light emitted from a non-biological source due to a chemical reaction

a. luminol(used to detect blood)

b. phenyl oxalate ester(glow stick)

. bioluminescence vs. fluorescence

a. bioluminescence: luciferase enzyme을 이용하여 반딧불이가 D-Luciferinoxyluciferin을 만들 때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때 빛 에너지로 방출된다. 이러한 형태를 bioluminescence라고 함.

b. fluorescence: 어떤 물질 그 자체로 에너지를 흡수해서 빛을 방출함! → 형광을 방출한다.

c. 활용: promoter가 잘 작동하는지 보려고 특정 geneluciferase를 만드는 gene을 삽입함. 이후 그 특정 gene이 발현이 되려면 luciferase도 같이 발현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bioluminescence가 관측되는지 봐야함!

→식물에게도 luciferase gene을 삽입하면 자체발광을 하게 됨!

. Bioluminescence in Nature: bacteriadinoflagellates(미세조류), 그리고 물고기나 곤충들에게서 발견된다!

3) Observation of multiple activities

① 사람의 염색체를 확인하는데 사용하기도 함

② 감염증

. 빨간색: mycobacteria

. 초록색: neutrophils

. 주황색: macrophages

Observation of cytoskeleton

. cytoskeleton: 일종의 protein들로 구성됨.

. actin filament는 빨간색, microtubule은 초록색, 핵은 파란색으로 나타남!

반응형